본문으로 바로가기

thumb_20230412143641521.JPG

빈집의 예방·관리·활용을 위한 정책방안

  • 저자 강미나 
  • 권호689
  • 발행일2018-11-12
  • 조회수2697

빈집의 예방·관리·활용을 위한 정책방안


강미나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장 외



1> 전국의 빈집 수가 급증하고 있으나 빈집 관련 제도가 미흡하여 관련 정책수행에 어려움이 있음

  - 전국 빈집은 20년간 약 3배 가량 급증했고(약 37만 호(1995년) → 107만 호(2015년)), 인구증가율 감소, 생산가능 인구 감소, 주택보급률 100% 달성, 기존 주택 노후 등으로 향후 급증할 가능성이 높음

  - 빈집을 정의하는 ‘건축물의 유형’과 ‘거주하지 않는 기간’ 등에서 법률과 통계자료에 따라 상이한 기준을 사용하기 때문에 빈집 관련 정책수행에 불일치가 발생하며, 빈집 소유주가 빈집을 관리하지 않아도 이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수단이 미흡


2> 빈집이 있는 지역에서는 빈집이 더 많이, 더 넓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빈집의 발생원인, 지역특성, 지역주민의 의견 등을 반영하여 예방·관리·활용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빈집 발생 원인은 ‘집주인 사망/시설 낙후 등으로 신규 주민의 유입 감소’, ‘대규모 정비사업의 지연 및 취소’ 등이므로 이에 따른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빈집 발생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고 빈집이 지역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소유주가 빈집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향후 부동산 가치의 상승 기대’, ‘빈집 관리의 어려움’, ‘복잡한 소유관계’가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소유주와 소유주의 소재를 파악하는 데 애로가 커서 관리 책임 부가에 어려움이 있음


 

|정책방안|

① 빈집은 소유자가 관리하도록 하고 관리에 대한 인센티브와 패널티 병행

② 빈집 관리를 위한 법적·행정적 근거 마련, 빈집 상담팀, 홍보팀, 조사팀, 관리팀 등으로 빈집 실무 전담팀을 구성하는 등 전문 조직체계 구축

③ 빈집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고, 정기적인 조사 시행 및 빈집의 이력관리 추진

④ 중앙정부는 법적 근거와 예산 및 지침 마련, 지자체는 실행, 빈집 DB 관리 및 모니터링, 민간은 빈집을 활용한 사업 담당 등 역할 분담

⑤ 지역의 특성과 빈집 발생유형을 고려한 정비사업 추진 및 각종 도시 및 주거관련 계획에 빈집 관리와 활용을 연계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홍보팀
  • 성명 한여정
  • 연락처 044-960-0439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