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계획입지의 체계적 공급·관리방안 연구
  • 저자장철순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16-04-18
  • 조회수218
5AED047C1E6849A987F1ECE209B11AB8.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산업도시의 진단 및 지속적 발전방안 연구(2014)
    • 낙후지역 개발사업 추진실태 및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2013)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도시형 산업입지 공급방안 연구(2012)
    • 국토품격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섬자원 활용방안 연구(2012)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1961년 울산공업지구가 정부에 의해서 최초로 계획입지 형태로 개발된 이후 수출주도 성장전략, 국토균형발전, 낙후지역개발 등 여러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계획입지제도를 도입ㆍ추진하였고 상당부문 경제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선택과 집중, 확산”이라는 계획입지 본래의 목적 보다는 정치적 목적에 의한 지원 및 지역 배분 측면이 강조되면서 계획입지 대상지역이 지나치게 확대되고, 계획입지별 경쟁력 및 차별성 저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성장잠재력 저하, 글로벌 경쟁 심화 등 어려운 대외여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관리를 위한 차원에서 계획입지제도의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장철순 선임연구위원이 수행한 「계획입지제도의 체계적 공급·관리방안 연구」는 우리나라 경제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안으로서 계획입지제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추진방향과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장철순: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와 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다양한 계획입지제도가 지정·운영되고 있으며, 이들이 경제활성화에 미친 파급효과가 큰 것도 또한 사실입니다. 그러나 각 정부 부처별 유사한 계획입지제도가 만들어지면서 차별성과 성과가 미흡한 실정입니다.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서 계획입지의 유사 중복문제를 해결하고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계획입지제도 체계적 공급·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장철순: 부처별로 운영중인 계획입지의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이 가장 큰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사실 계획입지제도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지정·개발되었는지 실태 파악도 안된 상태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서 구체적인 실태분석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계획입지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으로 지정 및 해제, 전환제도, 그리고 국토의 효율적 관리차원에서의 운영방안 등을 제시한 것도 의의가 있다고 봅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장철순: 계획입지제도가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상황에서 문제점 등을 제시하는 것에 부담을 느껴 일부 부처와 지자체에서의 자료 협조 등이 어려운 경우도 있었습니다. 본의 아니게 의심을 산 것은 앞으로 연구할 때 참조해야 할 것 같습니다.

KRIHS: 연구수행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장철순: 본 연구가 시작되고 나서 기재부에서 특구제도 개선방안 연구를 발주하였습니다.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된 것 같아 뿌듯함을 느꼈고요. 계획입지 실태결과와 정책방안에 대해서 부처간 눈에 보이지 않는 신경전도 있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누고 정책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습니다. 혹시 기회가 된다면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심도있는 연구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장철순: 계획입지제도에 대한 지정개발과 운영관리를 분리하여 시행하는 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관련 분야 정부출연연구원이 공동으로 심층연구를 수행하고 싶습니다. 



장철순 선임연구위원은 서울대학교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산업입지연구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국토교통부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위원, 국토교통부 규제개선 위원, 충남도 생활권발전협의회 위원, 경기도 지역개발조정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산업입지정책, 지역개발정책 등이다. 주요 연구과제는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2012), 지속가능한 지역발전기반 구축 연구(2012), 지역개발사업평가시스템구축을 위한 연구(2013), 창조경제실현을 위한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계획 보완 연구(2013), 산업도시 진단 및 지속적 발전방안 연구(2014), 노후 산업단지 리모델링 종합계획수립 연구(2014), 계획입지의 체계적 공급관리방안 연구(2015) 등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