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토 유휴공간 현황과 잠재력 분석 연구
  • 저자김동한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6-08-28
  • 조회수491
5F2E68BAF4FB498A849F766E036BA27B.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OECD 지역정책 동향분석 연구(2015)
    •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토도시 정책방안 연구(2014)
    • 행위자 기반의 공간변화 시뮬레이션 모형구축과 국토도시정책 활용방안 연구(2014)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고도성장 시대를 지나 안정성장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정주지역이나 도시지역 내에서 유휴화되거나 이용되고 있지 않은 공간이 증가하고 있다. 향후 국토도시의 효율적 이용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유휴공간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김동한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국토 유휴공간 현황과 잠재력 분석 연구」는 유휴공간 분석에 대한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김동한: 유휴공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지만, 유휴공간의 존재와 분포를 분석적으로 도출하고, 분석된 유휴공간의 충진개발 잠재력을 파악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합니다. 유휴공간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유휴공간의 잠재력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를 데이터 기반으로 종합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토도시 정책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김동한: 유휴공간에 대한 연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에는 단편적인 총량적인 접근이나 주를 이루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유휴공간이 어디에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방법이 미흡하였고, 어떠한 자료를 활용해서 유휴공간을 분석할 수 있는지도 명확하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는 보다 체계적인 분석방법과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유휴공간을 분석하고, 유휴공간 분석과 평가를 위한 계획지원체계(Planning Support System for Abandoned, Vacant, Underutilized Land) 등을 구축하여 종합적 관점에서 유휴공간을 진단하고, 과학적 정책지원도구를 활용한 국토도시정책을 발전시켜 나가자는 것입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김동한: 유휴공간 실증분석을 위한 사례지역은 부산시를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습니다. 유휴공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을 위해 부산시청을 방문하고, 여러 관련 부서를 찾아다녔습니다. 부산시의 다양한 유휴공간들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해 주시던 부산시청의 관련 담당자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초자료와 분석자료 등을 기반으로 현장답사를 다니면서 현대화되고 고층화되고 있는 대도시의 이면에, 한편으로는 방치되고 유휴화되고 있는 다양한 공간들을 보면서 알 수 없는 안타까움을 느낀 기억이 있습니다. 

 

KRIHS: 연구수행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김동한: 유휴공간은 학술적으로 또는 정책적으로 하나의 관점만으로는 정의할 수 없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가능합니다. 사실 유휴공간의 개념이나 분포는 국가별로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다양한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면 보다 풍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나, 연구기간 등의 한계로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을 수행하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움이 있습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김동한: 계획수립과 정책집행에 도시모형을 활용하면 의사결정의 객관성을 제고 할 수 있고, 다양한 정책대안을 사전에 탐색하고 가능한 정책결과에 대해 협동적으로 논의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이와 같은 모형의 개발은 단기간의 연구로 완성될 수는 없고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연구개발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공간변화의 다양한 측면과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통합적 계획지원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관련 연구를 계속 수행하고 싶습니다.


 


 

 김동한 책임연구원은 2012년 영국 University College London(UCL)에서 Planning Studies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도시모형, 공간분석, 계획지원체계 등이다. 주요 연구성과는 행위자 기반의 공간변화 시뮬레이션 모형구축과 국토도시정책 활용방안 연구(2014),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토도시 정책방안 연구(2014), 메트로나미카 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지역의 도시성장 시뮬레이션(2013) 등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