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사회경제 여건변화에 대응한 미래지향적 산업입지 전략 연구
  • 저자강호제 연구위원
  • 게시일2017-10-27
  • 조회수284
89B27B4242724A98BCA2D1E2219B52BA.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고령인구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연구(2015)
    • 저성장 시대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산업입지전략(2013)
    • 경제자유구역 광역화전략 연구-수도권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2011)
    • 수도권 스마트 성장관리를 위한 산업입지정책 연구(2011)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주요 기업의 공장가동률이 예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고 제조업 전반에 구조적인 경기침체가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일부 반도체와 첨단산업에서의 호황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제조업체들이 겪는 위기감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강호제 연구위원이 수행한 ‘사회경제 여건변화에 대응한 미래지향적 산업입지 전략연구’는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산업입지정책의 변화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강호제: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제조업 성장의 기반을 제공했지만 다양한 변화에 직면해 있습니다. 고령화, 저성장, 1인가구의 증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제조업 중심 산업단지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면서도 복합적이고 도시적인 산업용지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책적으로는 각 부처별로 경쟁적으로 조성한 산업용지를 비롯해 비도시지역을 황폐화시키는 개별입지도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보다 과학적으로 산업입지의 메가트렌드를 도출하고 계획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찾아보고자 연구를 기획했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강호제: 가장 큰 특징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뉴스문서 800만 건을 이용한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산업입지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메가트렌드를 도출했고 실증데이터를 통해 실제로 메가트렌드가 진행되는지 검증해 봤다는 점입니다. 기업이 입지하는 지역과 산업입지 유형에 따라 수익성과 매출액에 차이가 있고 지방광역시의 경우 산업단지에 대한 종속성이 예상보다 크게 나타나 향후 도시재생과 산단재생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강호제: 기업의 재무데이터를 이용해 입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대기업을 제외한 일반적인 기업의 영업과 매출실적이 산업단지 입지여부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민감한 문제여서 분석과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했고 앞으로도 검증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관련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해 봅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강호제: 다양한 분석과 실증이 이루어졌지만 개인적으로는 산업입지정책의 목표를 재정립했다는 점에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1934년 영국의 Special Areas Act를 통해 근대적인 의미의 산업입지정책이 처음 도입된 것을 찾아냈고, 각국의 산업입지정책이 산업의 발전과 지역의 균형발전이라는 두 가지 상충되는 목적을 지향하며 시대에 맞게 변화해 나간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개인적으로 산업입지정책의 ‘정체성’을 정립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강호제: 지역의 경제발전을 위해 학자들은 산업입지론을 이야기하고 정책결정자들은 산업단지를 계획합니다. 그러나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이제는 특정산업을 분류하는 것조차 의미 없는 일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물론 1차 산업에서도 융·복합이 일어나면서 더 이상 ‘산업’ 차원에서 입지론과 공간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산업간 융․복합은 더 활발해지고 종류를 알 수 없는 새로운 산업은 더 많아질 것입니다.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같은 특정 산업이 아니라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 ‘혁신을 주도하고 성장하는 기업’과 같이 기업위주의 연구와 정책이 발굴되어야 합니다.


 

 강호제 연구위원은 2004년 미국 Cleveland State Univ.에서 도시 및 공공정책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산업입지연구센터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Springer-Verlag Award(2005), Honorable Mention for Tiebout Prize(2005) 등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지역경제개발, 비도시 공장난개발, 산업입지 등이다. 주요 연구과제는 수도권 스마트 성장관리를 위한 산업입지정책 연구(2011),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반조성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2011), 고령인구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연구(2015), 저성장 시대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산업입지전략(2013), KSP정책자문III연구(미얀마) 등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