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글로벌 공간정보경쟁력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공간정보정책도입 연구
  • 저자강혜경 연구위원
  • 게시일2018-05-31
  • 조회수241
4C21ED4296A341B6B2572E232E9A2709.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글로벌 공간정보역량 비교분석 및 해외 진출전략 연구(2015)
    • 공간정보표준적용지침(안) 마련 연구(2012)
    • 스마트사회를 주도하는 공간정보기술경쟁력 확보방안(2011)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4차 산업혁명기에 기술 환경이 '참여'와 '공유'로 변화하면서 오픈소스(Opensource)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민간의 '오픈소스 공간정보정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강혜경 연구위원이 수행한 「글로벌 공간정보경쟁력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공간정보정책도입 연구」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공간정보정책관점에서 오픈소스 전략 도입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강혜경: 오픈소스 전략은 세계시장 점유율이 낮고 원천기술이 부족하더라도 공개된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기술을 단기간에 확보함으로써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이는 해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열악한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정책을 도출하고자 하였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강혜경: 그동안 정부는 독점·폐쇄 방식의 공간정보 기술개발을 지원해 왔습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 공간정보 기업은 우수한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규모의 영세성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이 낮았습니다. 본 연구는 정부 지원 기술개발에 공개·참여·협업 중심의 오픈소스 방식을 도입하자는 것입니다. 스타트업, 중소기업, 예산이 부족한 지자체, 학생 등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공공재 확보를 정책지원하자는 것이지요.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강혜경: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글로벌 오픈소스 기술개발을 주도하는 국가가 궁금해져서 OSGeo라는 국제기구 전문가들과 함께 약 40여 종의 오픈소스 기술 개발자들을 조사했습니다. 3천여 명을 조사했었는데, 미국, 일본과 비교하여 한국 개발자 수가 너무 작았습니다. ‘한국 개발자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었을지도 모른다’며 해외 연구진들이 다소 민망해했습니다. 저도 얼굴이 좀 화끈거렸지만 ‘이 연구를 수행하는 이유라고...’ 둘러말했답니다. 사실 확인차 필요한 조사였지만, 그 순간에는 조금 후회되었습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강혜경: 연구를 수행하면서 독점·폐쇄방식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오픈소스 정책도입에 저항이나 반대가 심할 거라고 예상했었습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기업들은 오픈소스로의 환경변화에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었고, 오픈소스 정책수요도 높았습니다. 설문조사, 전문가 포커스 조사 등을 통해 현장의 생생한 요구를 수렴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더 많은 소리를 모으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강혜경: KT 등 민간에서 오픈소스 도입으로 정보화 비용을 60∼80% 이상 절감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보면, 오픈소스 도입은 비용절감뿐만 아니라, 공공재로서의 사회적 효과도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효과분석을 정량적으로 할 수 있도록 향후에는 오픈소스 공간정보정책도입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과분석 연구를 해보고 싶습니다. 이외에도 오픈소스는 '참여'와 '공유'라는 기술 트렌드가 지속되는 한 계속 그 수요가 증가할 것이므로, 오픈소스 핵심기술 분석 등 다양한 오픈소스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강혜경 연구위원은 2006년 부산대학교 GIS로 공학박사를 취득하고 2008년부터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본부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미국 메인주립대학교 GIS센터 연구원을 역임하고, 2014년부터 오픈소스 공간정보 기술개발 R&D 연구단장을 수행 중이다. 2015년부터 유엔, 미국방부, OSGeo 등과 함께 유엔의 오픈소스 공간정보기술을 개발하는 다국가 협의체인 UN Open GIS Initiative 사무국 및 기술3분과 의장을 수행 중이다. 주요 연구과제는 글로벌 공간정보역량 비교분석 연구(2015), 국가공간정보표준화연구(2008-2011), 오픈소스 공간정보 R&D연구(2014∼2019) 등이 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