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도시재생을 위한 도로 공간기능 활용 방안 연구
  • 저자이춘용 선임연구위원
  • 게시일2018-10-26
  • 조회수267
1966B3A63D314A3C8F4865B4FB3A9E3E.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국가도로종합계획 실효성 제고를 위한 도로건설·관리계획 수립 방향 연구(2016)
    • 일반국도 및 우회도로 노선 지정·관리체계 개선방향 연구(2016)
    • 민간부문의 교통 인프라 계획 참여 활성화 방안: 미국·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는 네트워크형 중추도시생활권 광역교통 거버넌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2014)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지역 공동체 활성화, 양질의 생활 인프라 확충, 안전한 도시 공간 확보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정부정책 우선순위가 높다. 도시재생사업은 동일한 사업지구 내에서 도로, 도시, 교통 부문이 함께 대응해야 하는 연계 협력 사업의 중심에 있기도 하다. 이춘용 선임연구위원이 수행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로 공간기능 활용 방안 연구」는 기존 국토교통 정책의 보다 일원화된 추진체계 정립을 제안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이춘용: 우리가 매일 생활하고 있는 도시에서 다양한 개인 활동들이 이루어집니다. 또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기약하며 개인이든 국가든 노력을 하고 있지요. 내가 사는 곳, 일하는 곳의 삶의 질이 높아지듯 내가 이동하는 공간에서도 사람이 우선이고, 사람을 먼저 생각해주는구나 라는 느낌을 갖고 싶었습니다. 자동차로 범람된 도로에서 걷고 싶고 누군가를 만나고 그곳의 정취를 느끼며 잠시 멈추고 싶은 공간을 갖고 싶었습니다. 도시재생과 도로는 그렇게 하나의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춘용: 보다 나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계획 기법, 도시설계, 도로 설계 기법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다만 지금까지 우리가 고민해온, 하고 싶은 일들이 어떻게 조화롭게 한 곳에서 이루어질 것인가 라고 생각합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 사업지구에서 도로 따로 도시설계 따로 교통운영을 따로따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각 부문이 함께 내어놓고 각각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 아는 것처럼 또는 식상하지만 콜라보레이션,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한 연계 협력의 실천 전략입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이춘용: 개인적으로 10년 전(2007년) 수행했던 연구 대상지역을 다시 가보는 행운을 얻었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해당 도시에서 도로 공간기능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았습니다. 보행 공간 확보 등 그 일부가 현장에 구현되기도 했고요. 다만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하지만 변하지 않은 것은 안타깝게도 경직된 행정 업무의 칸막이, 국비 신청을 위해 자신들의 모습보다는 전국 공통 기준에 맞추는 광경은 여전했습니다. 이와 반대로 외부 연구진께서 흔쾌히 참여해주신 점은 참 고마운 일이었습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이춘용: 도로 공간기능을 충분히 이해해주시는 학계, 관계, 연구기관 전문가 분들의 관심을 보았을 때 놀라웠습니다. 연구진이 느끼는 큰 보람은 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때입니다만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내가 조금이나마 노력하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 때입니다. 다만, 그곳에서 거주하는 주민, 볼 일이 있어 오신 분, 지나가시는 분들이 어떻게 느끼셨을까 그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지 못한 점이 아쉽습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이춘용: 국토교통부가 동일한 사업지구에 관련 예산과 전문 지식을 동일한 시기에 필요한 만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해보고 싶습니다. 물론 부서 간 이견과 시기상조라는 또는 내 업무에 감히 이러쿵저러쿵......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위해 도시 유형별로 도로 기능별 위계에 따라 국토교통부 시범사업의 추진방안을 모색해 이를 단계적으로 확산하는 대안을 마련하고 싶습니다.

이춘용 선임연구위원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 도로정책연구센터에 재직 중이다. 주로 도로 계획 및 정책, 지역정책, 교통정책 등에 연구의 관심이 높다. 주요 연구과제는 국가도로종합계획 실효성 제고를 위한 도로건설·관리계획 수립 방향 연구(2016), 일반국도 및 우회국도 노선 지정·관리체계 개선방향 연구(2016),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는 네트워크형 중추도시생활권 광역교통 거버넌스 체계 개선방향 연구(2014) 등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