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thumb_20220822202717871.jpg

응급의료 취약지도로 본 농촌 VS 도시


 국토이슈리포트 (2020.03.17)

응급의료 취약지도로 본 농촌 VS 도시

- 종합병원·응급의료시설·소방서 접근이 어려운 의료취약지역에 그들이 살고 있다 -



손재선 책임연구원, 신문수 연구원



|요약|

■ 연구의 의의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부각된 중증 응급 환자에 대한 빠른 치료와 이송을 제공할 수 있는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지역 간의 격차와 사각지대에 대한 관심 필요

       도시와 농촌의 인구와 인프라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응급의료 대책이 시급한 지역을 찾아보고 자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 응급의료* 취약지도 제작방법과 주요 결과

         * 종합병원·응급의료시설·소방서를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간주하여 분석

      세 가지 시설에 대한 시·군·구 평균 접근성과 최저기준의 서비스권 바깥에 거주하는 취약 인구(영·유아 및 고령자)비율을 활용하여 응급의료 취약지역을 평가·분석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및 지역의 거점도시는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양호하고 서비스권 외 취약인구비율도 낮은 편이나, 농촌과 산간, 일부 해안지역은 취약하여 지역 편차 큼

      - 종합병원 취약인구가 많은 지역(취약인구 3만 명 이상 6개, 2~3만 명 20개 시·군)은 지원 시 우선 고려

■ 농촌(군郡지역)과 도시(시市지역)의 격차

      시지역에 비해 군지역에 사는 취약인구의 응급의료 서비스 수준은 매우 낮음

      - 종합병원은 58.9%p, 응급의료시설은 39.8%p, 소방서는22.9%p의 격차

      정량적 격차뿐만 아니라 농촌은 소수의 취약인구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도시는 반대로 많은 인구가 좁은 지역에 분포하여 도·농 간 응급의료 서비스 지원 전략의 차별화 필요

■ 시사점

       공간정보를 활용한 종합응급의료 취약지역 종합평가 결과자료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대응과 의료체계 개선 시 취약지역 타겟팅 등 차등적 지원에 활용 가능

      지역 의료자원 배분의 선택과 집중, 우선 지원 시급지역 파악 등에 활용

      정책제언: ① 취약인구를 배려한 원격의료 및 위기전달체계 강화, ② 공간정보 기반 국토지표(격자통계)를「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의 의료취약지 모니터링에 반영, ③ 농촌과 도시의 격차를 고려한 차별성 의료지원 기준과 정책 발굴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국토이슈리포트 13호(최종).pdf (0Byte / 다운로드:398) 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홍보팀
  • 성명 한여정
  • 연락처 044-960-0439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