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홈
- 발간물
- 연구보고서
국토분야 정보의 공유를 위해 연구보고서 원문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목 | 나라별 건설 생산성 분석 및 기술개발방향: 층당·연면적당 공사기간 및 지하층 공사를 중심으로 | ||||
---|---|---|---|---|---|
연구진 | 이치주 | ||||
보고서번호 | WP 20-15 | 발행일 | 20201224 | ||
페이지수 | 34 | 과제구분 | |||
첨부파일 |
![]()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술 및 관리능력을 반영할 수 있는 층당·연면적당 공사기간을 생산성 분석기준으로 선정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의 생산성을 분석·비교
■ 층당 공사기간의 분석결과, 지난 20여 년 동안 많은 시공기술과 스마트건설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우리나라의 건설 생산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오히려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
■ 연면적당 공사기간의 분석결과에서는 우리나라의 건설 생산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향상하는 것으로 분석
■ 생산성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은 연면적당 공사수행능력보다 층당 공사수행능력에서 생산성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
[목차] 1 서론
2 건설 생산성 분석지표
3 한국, 미국, 영국의 층당·연면적당 공사기간 분석
4 건설 생산성의 변화원인 분석
5 지하층 공사의 특징과 기술개발방향
6 결론
■ 층당 공사기간의 분석결과, 지난 20여 년 동안 많은 시공기술과 스마트건설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우리나라의 건설 생산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오히려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
■ 연면적당 공사기간의 분석결과에서는 우리나라의 건설 생산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향상하는 것으로 분석
■ 생산성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은 연면적당 공사수행능력보다 층당 공사수행능력에서 생산성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
[목차] 1 서론
2 건설 생산성 분석지표
3 한국, 미국, 영국의 층당·연면적당 공사기간 분석
4 건설 생산성의 변화원인 분석
5 지하층 공사의 특징과 기술개발방향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