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정책 Brief
- 홈
- 이슈&뉴스
-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에서 수행한 주요 연구과제의 핵심 내용 해설과 정책제안 등을 압축해 국민께 알려드리고자 하는 발간물입니다.
제목 | 주거복지정책 사각지대? 지하주거 현황분석 및 주거지원 정책과제 | ||
---|---|---|---|
작성자 | 이후빈 박미선 이보경 고영화 | ||
권호 | 810 | 작성일 | 2021년 04월 05일 |
첨부파일 |
![]() |
주거복지정책 사각지대?
지하주거 현황분석 및 주거지원 정책과제
이후빈 부연구위원, 박미선 주거정책연구센터장, 이보경 부연구위원, 고영화 연구원
1> 영화 ‘기생충’ 흥행 이후 지하주거에 관심이 높아졌지만, 지금까지 주거복지정책은 지하주거 자체가 아니라 소득빈곤과 결합한 지하주거를 정책대상으로 삼음
2> 지하주거가구는 주거지원이 가장 시급한 최저소득층으로 보기 어렵고, 지하에거주한다는 사실만으로 정책대상이 되면 정당성 논란이 초래될 수 있음
3> 수도권 임차가구에서 저층주거지 지하주거의 노년 가구주 비율(19.2%)이 가장 높고, 자녀양육가구 비율도 지하주거(22.1%)가 비주택(1.9%)보다 훨씬 높음
4> 지하주거에서 내부상태 불만족 비율(48.2%)이 높지만, 이 중에서 상당수(35.4%)가 열악한 내부상태를 양호한 입지이점과 맞바꾼 것으로 인식함
5> 주거비 부담은 아파트, 비주택, 지하주거, 지상주거의 순서이지만, 지하주거에서는 열악한 내부상태의 입지이점 추구가 과도한 주거비 부담을 초래할 수 있음
정책과제 |
① (주거상향) 지하주거를 포함하여 주거상태가 매우 열악한 저소득 다자녀가구에게 공공임대주택 입주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별도의 아동 주거비를 지원 ② (주거입지) 내부상태가 양호하더라도 주거입지가 좋지 않은 공공임대주택의 정책적 수용성이 낮을 수 있으므로, 입지를 고려한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필요 ③ (주거안정) 현재 복지정책인 긴급주거지원은 소득기준이 명확해서 제한적이므로, 주거위기에서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보편적 주거안정망 구축을 고민해야 함 ④ (주거대안) 지하주거 소멸을 대비해서 열악한 주거상태를 생애주기, 가구특성과 동등한 수준으로 취급하는 공공임대주택 유형통합 우선공급기준을 논의해야 함 |
이전글 | 부동산자산 불평등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
---|---|
다음글 | 관광지 쇠퇴현황 및 원인 진단과 재생정책의 추진방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