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스마트도시 성숙도 및 잠재력 진단모형 개발과 적용방안 연구
  • 저자이재용 연구위원
  • 게시일2017-10-23
  • 조회수346
F0B58E9E4B874152A52191F6E16AE2A0.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2016)
    • 범죄예방을 위한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방안(2013)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첨단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도시문제 해결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도시모델로 스마트도시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도시의 개념이 정립되지 못하여 스마트도시 사업의 성과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 기준의 스마트도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업의 성과를 진단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여 국내 스마트도시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이재용: 국내 스마트도시 추진이 신도시를 중심으로 첨단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고 추진된 반면 해외에서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도시는 거버넌스, 사회적 자본 등 복합적인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는 점에 관심을 가지고 국내에서 추진되는 스마트도시 개념을 수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고 또한 국내 스마트도시 추진의 성과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않아 국내 스마트도시가 국제적으로 저평가되고 있다고 생각되어 국제적 기준을 갖춘 진단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재용: 기존 기술 및 인프라 중심의 스마트도시 개념 논의를 민관 협력적 거버넌스를 포함하는 제도적 부문, 민간 및 시민의 역량 강화까지 포괄하는 인적자원 부문 등을 스마트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로 개념을 확장하였고, 개별 부문들을 상세히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 실제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국내 스마트도시의 정책을 국제적 기준에 맞도록 전환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중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이재용: 스마트도시가 포괄하는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다 보니 연구진들 간 어느 범위까지를 스마트도시의 범위로 설정하는가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었습니다. 스마트도시가 추구하는 방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여러 사람들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모으는 과정 속에서 시행착오가 발생하기도 하였고 또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나오는 과정을 거치면서 스마트도시 정책 수립의 과정이 이런 방식으로 추진될 수 있겠구나 하는 것을 연구 수행 중에 느꼈습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스마트도시 모형에서 거버넌스적 측면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데 실제 연구과정 속에서 다양한 시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더 나은 연구성과를 만들어 가는 거버넌스 과정을 체험하였다는 것이 매우 즐거웠습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이재용: 작년 연구 종료 후 확장된 스마트도시의 개념에 대하여 정부 부처 등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냈고 스마트도시 국가 정책 역시 확장된 개념을 도입하여 추진 중이며 또한 법적으로 명시된 스마트도시 인증제에서도 본 연구의 성과를 채용하는 등 정책연구의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실제 정책에의 반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보람을 느꼈습니다. 반면 새로운 진단모형을 제시하였지만 지자체에서 수집할 수 있는 원데이터들이 제한적이어서 정확한 진단을 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는 점은 아쉽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스마트도시 인증이 제도화된다면 지자체들에서도 지표에 맞는 원데이터들을 확보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이재용: 국내 스마트도시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또한 해외에서 가장 인정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연구들을 수행하고 싶습니다. 또한 지금까지 공공주도 및 기술·인프라 중심의 스마트도시를 인간 중심의 스마트도시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들 역시 수행하고 싶습니다.

 

  이재용 연구위원은 2008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spatio-temporal Analysis로 지리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스마트녹색도시연구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며 현재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 위원회 민간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스마트도시 법제도 및 국가 정책 수립 등이며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2016),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플랫폼 구축연구 기획(2015), 지능형도시 고도화 방안 연구(2013~2018), 사회적 약자를 위한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방안(2013) 등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