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중위도시를 위한 도시회복력 계획 연구
  • 저자홍사흠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8-08-24
  • 조회수372
BF6B56BA8BFC4B26AFB1670BC1A121AA.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지역경제 회복력 진단 및 증진방안 연구(2016)
    • 규제비용총량제 도입에 따른 국토교통 분야 규제비용 분석연구(2016)
    •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다차원적 지역산업구조 분석연구(2015)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도시회복력이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서울’이라는 강력한 수위도시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의 급속한 발전경험을 도시회복력 측면에서 조망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과거 우리와 비슷한 도시화 초기단계에 있는 개발도상국 중위도시의 회복력 있는 도시발전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홍사흠: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회복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해당 부분에 관한 연구를 한 지 3년 차에 접어들면서 도시와 지역에 관련한 회복력의 개념과 실증지표 등을 종합한 형태의 연구를 추진하고 싶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개발도상국에 그 경험과 성찰을 전달한다는 점 역시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홍사흠: 사실 회복력 연구에 대한 실증적 접근은 그 관심에 비해 여전히 미진한 것이 현실입니다. 혹자는 아직도 회복력이 개념적으로 지속가능성과 별다른 차별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개념적 논쟁 속에 갇혀 실증적으로 회복력을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만들어낸 연구는 여전히 많지 않습니다. 비록 매우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러한 이론적 논쟁을 차치하고 실증적으로 다양한 회복력 개념들을 도시라는 하나의 공간 속에서 실증적으로 다루고 싶었습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홍사흠: 제가 주로 연구하는 회복력 분야는 사회·경제적 측면입니다. 때문에 환경이나 재난대응 관련 부문들은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과 연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동시에 하나의 연구 방법과 프레임 속에서 과제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조건도 있었습니다. 사실 이 부분을 타 분야 연구자에게 설득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다행히도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일정수준의 동의에 이룰 수 있었고, 지금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결국 회복력이란 동일한 언어로 소통하게 된 느낌이랄까 하여튼 다른 연구 수행과 비교했을 때 특이한 경험이었습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홍사흠: 회복력이란 개념이 정량적으로 다루어지기 힘들었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관련된 자료가 많지 않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 도시개발의 역사를 회복력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던 본 연구 역시 관련된 시계열 자료의 부재가 연구의 가장 큰 한계로 작용했습니다. 자료의 한계와 길지 않은 연구 기간이란 한계 속에서도 양질의 연구 성과를 보여주신 연구진분들께 감사할 따름입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홍사흠: 회복과 더불어 포용에 관한 연구를 하려고 합니다. 특히, 경제적 포용이 공간상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관찰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 회복과 포용이라는 두 가지 개념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역 성장이라는 기존의 가치를 대체할 수 있는 유일하면서 동시에 바람직한 대안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ICT기술을 기반으로 한 초연결시대에 각 공간과 연결점에서 쏟아져 나오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간의 회복과 포용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 가장 큰 연구자로서의 바람입니다.

홍사흠 책임연구원은 2014년 미국 텍사스 A&M대학에서 Urban and Regional Science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지역경제연구센터에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도시 및 지역계획, 도시 및 지역경제, 산업구조 분석 등이다. 주요 연구 과제는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다차원적 지역산업구조 분석(2015), 지역경제 회복력 진단 및 증진방안(2016) 등이 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