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지역 간 연계협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인프라 구축전략: 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이백진 연구위원
  • 게시일2018-12-04
  • 조회수297
28AE9D04EDD94D5893EC40F893CB3B87.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첨단인프라 기술발전과 국토교통분야의 과제-자율주행 자동차를 중심으로(2016)
    • ITS 빅데이터를 이용한 도시 모빌리티 분석 및 정책 활용방안(2015)
    • 교통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및 적용방안(II)(2014)
    • 교통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및 적용방안(I)(2013)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수도권과 달리 우리나라 지방중소도시들은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인해 지역 공공서비스의 유지와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최근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지역 간 연계협력이 강조되고 있으나 실질적 접근방법론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백진 연구위원이 수행한 「지역 간 연계협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인프라 구축전략」은 첨단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스마트 인프라 구축을 통해 지역 간 연계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이백진: 지방중소도시들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는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첨단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인프라 구축을 통해 지방중소도시들의 문제를 완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특히 2003년부터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도시와 인접 도시들을 대상으로 연계 잠재력 분석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백진: 많은 연구들에서 지방중소도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방도시들과 인접 지역의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 경쟁력 강화와 주민 생활기반 유지를 위한 임계규모 달성, 도시 간 공유재로서 생산과 네트워크 유지관리가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반면 실질적으로 지방도시와 인접 지역과의 연계협력을 ‘어떠한 방식으로 달성할 것인가’라는 것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은 실정입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발전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인프라’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이를 통한 지역연계협력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이백진: 본 연구는 국토와 공간정보 등의 협력 연구를 통해 수행되었습니다. 특히 지역 간 연계 잠재력 분석을 위해 공간정보 분석 전문가들과 함께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상이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연구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서로 관심 있는 분야와 접근 방법론, 목적이 달랐기 때문이었습니다. 바라보는 시각이 다른 것이지요. 이러한 것들을 상호 조율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던 것이 보람이라면 보람이었습니다.


KRIHS: 연구수행 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이백진: 수시연구로서 매우 짧은 연구기간 동안 하고자 하였던 연구내용에 비해 실제 성과가 부족하였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사례분석지역으로 선정한 곳에서 지자체 공무원들이나 주민들과 직접 의견교환을 할 수 없었던 것이 가장 아쉽습니다. 하지만 이번 수시연구를 통해 개략적인 현황과 연구 프레임은 갖추어졌다고 생각합니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이백진: 지금까지 지역 간 연계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연구는 많았습니다. 그러나 실제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공무원, 사업자 등이 포함되고 지역주민들이 직접 참여한 연계협력 모델은 아직 부족한 것 같습니다. 보다 실질적인 지역 간 연계협력을 위해서는 관련 지역민들과 공공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연계협력 모델이 꼭 필요합니다. 향후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고 싶습니다.

이백진 연구위원은 2003년 일본 히로시마대학에서 공학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 첨단인프라센터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네덜란드 아인트호벤(Eindhoven)공과대학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첨단교통시스템(ITS), 교통모델링(Transport Modeling), 한반도 연구 등이다. 주요 연구과제는 첨단인프라 기술발전과 국토교통분야의 과제-자율주행 자동차를 중심으로(2016), ITS 빅데이터를 이용한 도시 모빌리티 분석 및 정책 활용방안(2015), 교통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및 적용방안(2013∼2014) 등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