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녹색교통수단 활성화에 따른 대기오염 저감효과 분석표지

수시 녹색교통수단 활성화에 따른 대기오염 저감효과 분석

  • 연구진 김종학  김호정 
  • 보고서번호국토연 2009-11
  • 페이지수146
  • 발행일2009-09-30
  • 조회수184

초록

자동차는 도시지역 대기오염 및 지구 온난화 현상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등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는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자동차는 도시지역 대기오염 및 지구 온난화 현상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2006년 총 온실가스 배출량 중 교통부문은 1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6%씩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고소비형 교통체계”를 “에너지 저소비형 교통 체계”로 전환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이 연구는 녹색교통수단 활성화의 전제 조건인 승용차 수요의 전환방법을 살펴보고 이로인한 대기오염 저감효과 분석결과를 근거로 실증적인 녹색교통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특징은 그 동안 직관적으로 알고 있었던 교통수단 선택의 습관을 관성효과로 명명하여 파악하였다는 점과 녹색수단별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전국과 수도권으로 이원화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그 동안 개념적 차원에서 머물렀던 승용차 이용자의 수단선택 습성을 관성을 통해 파악하였다. 아무리 훌륭한 개념이라도 그 실체를 논리적인 방법으로 정량화 하지 못한다면 그 개념의 정책 활용도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 연구는 추상적으로만 알고 있었던 교통수단 선택의식을 관성효과와 정시성 변동율로 분석하여 정량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대기오염물질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을 교통분석에서 그치지 않고 GIS의 공간추정기법을 이용해 공간확산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GIS 분석기법을 도입함으로써 각 지역별로 녹색교통지수를 산정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TPI(교통오염지수), TGI(온실가스지수)와 같은 녹색교통 지수는 중장기 녹색교통 정책 품질 평가지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수단선택 관성효과 와 정시성 변동율 조사결과에 승용차의 정시성 변동율이 가장 큼에도 불구하고 장래에도 계속이용하려고 하는 관성이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한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만으로 승용차 수요가 대중교통, 자전거와 같은 녹색교통수단으로 전환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승용차 이용자들이 원하는 수준만큼 녹색교통 수단 서비스 품질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당초 의도한 수단전환으로 인한 교통체계 개선효과는 낮아 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통수단 선택의식과 같은 이용자들의 개별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가 필요하다. 이러한 설문조사는 조사시기, 조사방법 등에 따라 바이어스(bias)가 있을 수 있다. 설문조사시 표본설계, 설문지 작성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전국적인 수단선택의 관성, 정시성 변동율 분석을 위해서는 적정 샘플수를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 인력과 비용이 필요하다. 향후 다양한 지역의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객관적인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산출하기 위한 연료별 배출계수, 차종 속도별 에너지 소비량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한다. 이렇게 된다면 이번 연구 결과에서 개발한 수단선택의 관성, 녹색교통지수 등의 폭 넓은 객관성을 확보하여 신뢰성 높은 정책대안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발 간 사 ⅰ
서 문 ⅲ
요 약 ⅴ

제1장 연구의 개요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연구배경 1
2)연구목적 3
2. 연구범위 및 방법 3
1) 연구범위 3
2) 연구방법 4
3. 연구 추진체계 8

제2장 녹색교통 전략의 개념과 분석틀 9

1.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9
1) 선행연구 검토 9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2
2. 녹색교통 전략의 개념 13
1) 녹색성장을 위한 교통정책 패러다임 변화 13
2) 녹색교통 전략의 개념 정립 14
3) 녹색교통수단 선정 15
3. 분석방법 기본틀 구상 16
1) 공간분석의 이론적 논의 16
2) 대기오염 발생원의 종류 18
3) 교통과 공간요소의 연계 18

제3장 설문조사를 통한 녹색교통 활성화 방안 21

1. 교통수단 만족도 설문조사 21
1) 조사개요 21
2) 조사대상자 특성 22
2. 녹색교통 활성화 방안 도출 25
1) 교통 수단선택의 관성 및 정시성 평가 25
2) 녹색교통 수단 이용의식 및 불편사항 조사 32
3) 녹색교통수단 활성화 방안 37


제4장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저감효과 분석 39

1. 대기오염 및 온실가스 저감효과 분석틀 39
1) 차량 대기오염 물질 산출방법 40
2) 차량 온실가스(CO2) 산출방법 41
3) 차종별 오염물질 발생량 비교 44
4) 분석자료 구축 46
2. 시나리오 설정 48
1) 시나리오 설정의 전제 48
2) 시나리오별 통행량 변화 50
3. 전국 시나리오 분석 54
1) 현황 분석 54
2) 전국 시나리오별 분석결과 58
4. 수도권 시나리오 분석 61
1) 현황 분석 61
2) 수도권 시나리오별 분석 64
5. 오염물질의 공간확산 분석 67

제5장 녹색교통지수 개발 및 산출 69

1. 녹색교통지수 개발 69
1) 교통오염지수(TPI) 산출방법 69
2) 교통 온실가스 지수(TGI) 산출방법 71
2. 전국 녹색교통지수 72
1) 전국 교통오염지수(TPI) 분석 72
2) 전국 교통온실가스지수(TGI) 분석 74
3. 수도권 녹색교통지수 76
1) 수도권 교통오염지수(TPI) 분석 76
2) 수도권 교통온실가스지수(TGI) 분석 78

제6장 정책 활용방안 및 결론 81

1. 정책 활용방안 81
1) 단기정책 81
2) 중장기정책 84
3) 정책 활용방안 로드맵 86
2. 연구의 특징 및 한계 89
1) 연구의 특징 89
2) 연구의 한계 90
3. 향후 연구과제 90

참 고 문 헌 93
Summary 97
부 록 99
[부록1] 선오염원 공간추정기법 99
[부록2] 설문지 107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 정보
  • 부서 지식정보팀
  • 성명 임지수
  • 연락처 044-960-0426
  • 최종수정일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