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토정책 지원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수요에 관한 연구
  • 저자강민조 책임연구원
  • 게시일2016-03-20
  • 조회수215
B52048E829994DD2961606DA8444599D.jpg 원문보기
주요연구보고서 목록
    • 국토정책 지원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수요에 관한 연구
    • 국토관측 위성정보 활용기술센터 설립 기반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보러가기
위성정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국토교통부는 국토관측을 위한 차세대중형위성 1·2호기(2019년·2020년에 발사예정)를 개발 추진 중이다. 강민조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국토정책 지원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수요에 관한 연구」는 국토분야 현업지원을 위한 국토위성정보 활용분야 도출 및 위성영상 활용촉진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KRIHS: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동기는?


강민조: 위성정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위성정책은 위성정보 활용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위성정보의 활용은 정확하고 신속한 국토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국토정책 지원을 위하여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국가 위성정보 활용촉진을 위하여 차세대중형위성영상 활용이 가능한 국토교통부를 포함한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등의 업무를 대상으로 위성영상 활용이 가능한 분야를 도출하고자 하였습니다.

KRIHS: 이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강민조: 2014년 국토연구원의 「국토관측 위성정보 활용기술센터 설립 기반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공급자의 측면에서 전문가 조사를 통해 국토정책 지원을 위한 위성영상 활용분야를 도출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정보 공급자 측면이 아닌 위성정보를 활용하는 수요자 측면에서 활용분야를 도출함으로써 수요자 맞춤형 국토정책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습니다.

KRIHS: 연구 수행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는?

강민조: 본 연구는 국토관측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영상 활용 가능성이 높으리라 생각되는 국토교통부 업무 실무자를 주요 타깃으로 하여 수요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차세대중형위성 사업 및 위성영상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던 일부 실무자들은 국토위성영상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듣고 적극적으로 업무에 활용 의지를 보여주셨던 기억이 납니다. 특히, 「북한지역 국토개발 마스터플랜 수립」 업무를 담당하는 사무관은 엔지니어링 업체의 기술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하신 후 연구원으로 결과물을 보내주셔서 너무 감사했던 기억이 납니다.

KRIHS: 연구수행시 보람을 느꼈거나 아쉬웠던 점은?

강민조: 본 연구에서는 주요 수요조사 대상인 국토교통부 실무자들이 적극적으로 면담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보람을 느끼면서 연구할 수 있었습니다. 위성영상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의 차세대중형위성 사업에 대하여 귀기울여 주시고, 어려운 수요조사 내용과 긴 시간의 인터뷰에도 불구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주셔서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연구기간이 좀 더 길었다면, 더 많은 업무별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은 남습니다.

KRIHS: 앞으로 더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강민조: 위성영상 활용분야는 국토, 환경, 대기, 해양, 재해·재난, 사회·경제분야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국내 지구관측위성의 활용도는 미흡한 실정이라고 생각됩니다. 활용분야별 가용 위성제원 및 활용기술 개발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가위성정보 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싶습니다.



강민조 책임연구원은 2014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FSU) 도시환경 및 원격탐사로 지리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공간정보분석(GIS·RS 분야), 토지이용 및 빗물수질모델링, 미국·아프리카사례 연구 등이다. 주요 연구과제는 국토정책 지원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수요에 관한 연구(2015), 국토관측 위성정보 활용기술센터 설립 기반 연구(2015), Measurements of impervious surfaces: comparison of per-pixel, sub-pixel, and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2015) 등이다.


첨부파일